![[크기변환][Atelier ITCH] 적층재 (8).jpg](https://static.wixstatic.com/media/618010_be1326b8f56e4da4980e88d1042a75b1~mv2.jpg/v1/fill/w_810,h_540,al_c,q_85,usm_0.66_1.00_0.01,enc_avif,quality_auto/618010_be1326b8f56e4da4980e88d1042a75b1~mv2.jpg)
깊이 쌓아 올라가는 층의 경험, 삼각형의 단단한 요새
적층재 積層齋
Design
Construction
Photograph
Complete Year
Category
Location
Area
Atelier ITCH
Atelier ITCH
Zoel Moritz
2025
Office / Newly-built
Sungbuk-gu, Seoul, Korea
98.4m² (B1 : 18.4m² + 1F : 31.8m² + 2F : 34.3m²+ 3F : 13.9m²)
협소한 대지를 계획할 때에는 땅과 주변 환경에 대한 분석 그리고 사용자의 요구를 구체화하고 이를 직조하는 치밀함이 그 어느 때보다도 필요하다. 협소한 땅은 면적, 형태, 출입구의 위치, 계단의 배치 등 땅의 여건상 건축물의 형태가 이미 규정되는 경우가 많아 고유한 이미지를 만들기 어려워 보이지만 외려 이러한 제약사항을 다른 시선으로 해석해 고유한 스토리를 만들어내는 것은 협소주택만의 매력이 되곤 한다.
좁은 골목 끝 18평이 채 되지 않는 삼각형의 땅. 삼각의 두 면이 뒷 건물로 올라가는 높은 계단과 맞붙어 있었는데, 뒤땅의 대지와 높이 차이가 커서 높은 땅을 등지고 있는 형태였다. 남향으로는 이러한 높은 땅이 있어 빛이 드는 것을 기대하기 어렵고, 도로 쪽으로는 이웃집의 창과 마주 볼 수밖에 없어 창을 냈을 때의 이점을 기대하기 힘들어 보였다. 더구나 해당 부지로 진입하는 도로는 차량 한 대가 겨우 진입할 정도의 좁은 도로라 공사 시 공사차량 진입 등 어려움이 많을 것으로 보였다.
건축주는 쉽사리 건축을 마음먹기 어려운 이형의 땅의 독특함에 이끌린 듯했다. 다각형의 공간에서 만들어지는 비정형적 공간감, 표준보다 작은 공간에서 느껴지는 아늑함, 사다리 같은 계단을 타고 올라가야만 갈 수 있는 숨은 공간 등 건축주와의 대화 후 우리가 느낀 것은 마치 어린 시절 책상 밑 아지트 같은 공간에서의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활동과 쉼을 할 수 있는 공간을 꿈꾸는 듯했다. 빛을 들이는 창보다는 혼자만의 프라이버시를 지키고 나만의 시간에 집중할 수 있는 닫힌 공간을 그리고자 했다. 음악, 미술 등 다양한 행위와 형태로 감정을 표현하고 창작하는 건축주의 작업공간이 될 이곳을 우리는 그를 지켜줄 요새와도 같은 공간으로 만들고자 했다.
When planning a small-scale building, a precise understanding of the land, its surroundings, and the user’s needs is more crucial than ever. On a compact site, the form of the building is often predetermined by constraints such as the lot’s size, shape, entry points, and stair placement. Though these limitations can make it difficult to create a distinctive image, interpreting them through a different lens can yield a unique story — a quality that often defines the charm of small houses.
At the end of a narrow alley sat a triangular plot of less than 60 square meters. Two sides of the triangle faced tall exterior stairs leading to the upper neighboring land, forming a condition where the site leaned against higher ground. Because of this topography, sunlight from the south was blocked, and any window facing the street would inevitably confront a neighbor’s view, limiting opportunities for openness. Moreover, the road accessing the site was only wide enough for a single vehicle, posing significant challenges during construction.
The client seemed captivated by the very peculiarity that made the site difficult — the irregular geometry, the sense of intimacy that arises in smaller-than-standard spaces, and the hidden corners accessible only by ladder-like stairs. In our conversations, we sensed a longing for a space that offered solitude and creative freedom — much like a secret childhood hideout under the desk. Rather than inviting light, the client sought a closed, private space to focus inward — a personal fortress for creation and expression in music and art.

우리는 이러한 의도를 ‘적층積層’의 개념으로 구현했다. 삼각형의 평면을 세 개의 조각으로 나누어 단차를 조금씩 쌓아 올리는 스플릿 플로어 (Split floor : 바닥을 반 층씩 엇갈리게 해 공간의 연속성과 개방성을 극대화하는 주택구조)를 적용했다. 지하와 지상층의 출입구를 분리하고, 3개 층 규모의 지상층 매스를 7개의 층으로 쌓아 올려 수직이동이 곧 공간의 서사가 되도록 했다. 좁은 공간 안에서 계단은 단순한 기능이 아니라, 공간과 공간을 엮는 리듬이 된다. 이 단차는 물리적으로 공간을 나누지만 심리적으로는 연결된 오묘한 경계를 만들어낸다. 각 공간은 기능에 따라 벽체가 구성되기도 하지만 대체로는 시선이 열려있어 연결된다. 10평 남짓의 공간이 하나의 공간으로 층층이 연결되어 한 호흡으로 오르는 ‘쌓이는 집’이 되도록 했다.
건물의 외피는 개방이 아닌 내면의 집중을 위해 붉은 벽돌로 감싸진 닫혀있는 벙커의 이미지로 표현했다. 밖으로 열리는 창을 최소화하되 도로로 향하는 면에 세로로 긴 창 하나만을 두어 공간 전체를 관통하도록 했다. 외부로는 닫혀있지만, 내부로는 켜켜이 쌓여 올라가는, 내면에 집중할 수 있는 공간이 되도록 했다. 적벽돌의 쌓기 방식을 달리해 외피를 표현해 하나의 거대한 벙커처럼 표현하고, 벽돌이 당겨지고 들어간 쌓기를 통해 지루한 표현이 되지 않도록 했다.
인간은 빛과 바람, 변화하는 자연의 흐름 속에서 정서적 균형을 얻는다. 건물의 흐름은 닫혀있지만, 내부에 상부 개방형 중정을 삽입해 폐쇄성과 동시에 개방성이 공존하도록 했다. 비바람과 햇빛은 위로 받아들이되, 측면은 닫혀있어 프라이버시를 지킬 수 있다. 7개 층의 최상층은 건축주가 작업에 집중할 수 있는 독립적인 공간으로, 중정 공간을 거쳐서 도달할 수 있도록 했다. 가장 고립된 공간이지만 동시에 전체 공간을 조망하는 공간이 된다.
We translated this intention through the concept of “layering.” The triangular floor plan was divided into three segments and built upward with subtle shifts in level, adopting a split-floor system to maximize spatial continuity and openness. Separate entries were given to the basement and ground floor, and the three-story mass was vertically expanded into seven half-levels — turning vertical circulation into the narrative of space itself. Within this small footprint, the stairs became more than a function — they formed a rhythm connecting each layer. The split levels physically divide the spaces yet create a subtle psychological continuity, allowing about 33 square meters of floor area to unfold as one breathing, layered space that rises cohesively from bottom to top.
Externally, the building presents itself as a closed bunker wrapped in red brick — a shell for introspection rather than exposure. Openings were minimized; only a single tall, narrow window was placed along the street-facing wall to pierce through the entire volume. Though outwardly closed, the interior grows upward layer by layer, embracing stillness and focus. Variations in brick bonding add texture and shadow, creating depth and rhythm across the solid façade — a massive monolith that feels handmade and thoughtful rather than monotonous.
Humans find emotional balance in light, air, and the rhythm of natural change. While the structure’s flow remains enclosed, an open courtyard was inserted at the top to allow both seclusion and openness to coexist. Sunlight and rain enter from above, while the sides remain shielded for privacy. The topmost level, reached through the courtyard, serves as the client’s creative studio — an independent yet contemplative space overlooking the layers below, the culmination of this vertical journe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