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기변환][Atelier ITCH] ITCH atelier (11).jpg](https://static.wixstatic.com/media/618010_b15e83800b2b4c07a243973442d7e50a~mv2.jpg/v1/fill/w_121,h_81,al_c,q_80,usm_0.66_1.00_0.01,blur_2,enc_avif,quality_auto/618010_b15e83800b2b4c07a243973442d7e50a~mv2.jpg)
빛과 계절, 자연의 변화가 담기는 ITCH의 두 번째 공간

Design
Construction
Photograph
Complete Year
Category
Location
Area
Atelier ITCH
Atelier ITCH
Standingpoint
2025
House / Newly-built
Eunpyeong-gu, Seoul, Korea
140.19m² (1F : 60.03m² + 2F : 43.8m²+ 3F : 36.38m²)
새로운 공간에 대하여
지난 ITCH HOUSE에서의 4년이 지났다. 신혼집이자 첫 사무실이었던 그 곳에서 신혼 그리고 사업 초기의 시절을 보냈다. 직원이 생겨나며 사무실과 주택의 분리에 대한 니즈가 생겨나고 가족의 인생 주기에서 다음을 준비하고자 하는 시기가 되어 새로운 공간을 계획하게 되었다.
About the new space,
Four years have passed since ITCH HOUSE. It was both our newlywed home and our first office. During that time, we lived through the early days of marriage and our business journey. As our team grew, the need to separate home and work became clear, and with changes in our family life cycle, we began planning a new space.


땅에 대하여 - 산세와 향(向)
백련산 중턱에 작게 조성된 주택과 빌라 단지. 산의 형태를 따라 주택과 빌라들은 서쪽을 내려다보게끔 계단식으로 배치되어 있었다. 서쪽으로 열려 서향의 빛과 탁 트인 뷰를 담을 수 있는 공간을 그릴 수 있을 만한 땅이었다. 반대로 동향은 도로와 면해있어 건물의 첫인상이 될 부분이긴 하나, 작은 도로를 끼고 마주하는 건물로 인해 빛은 들지 않고 프라이버시의 보호가 필요했다. 건물의 첫인상인 앞면은 단단한 덩어리인 듯 단정하게 정리하고, 건물의 뒷편은 산세가 담긴 토지의 지형을 이용하여 서향의 빛을 담고 각층마다 야외와 소통하는 열린 건물로 계획했다. 1층의 마당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고 마당의 식재들이 각 층의 실내에 뷰로써 어우러지는, 서쪽으로는 모든 층이 열려있는 건물을 그리고자 했다.
About the Site - Mountain Lines and Orientation
The site is located in a small cluster of houses and villas on the mid-slope of Baekryeonsan Mountain. Following the mountain’s contours, the homes are arranged in a terraced formation facing west, allowing us to envision a space that opens toward the western light and expansive view. On the other hand, the eastern side faces a road and neighboring buildings, limiting natural light and requiring privacy. The building’s front, which forms the first impression, was designed as a solid, composed mass. In contrast, the rear of the building embraces the mountain slope, with western-facing light and outdoor connections on each floor. We aimed to maximize the ground-floor yard, allowing the planted landscape to interact visually with the indoor space across all levels, opening the building entirely to the west.

건물의 인상
건물의 소재는 본연의 색과 성질이 강하지 않은 소재들로 구성했다. 노출 콘크리트는 자칫 차가울 수 있으나 세월의 흐름이 자연스레 묻어나는 소재이자 자연의 빛을 가장 자연스레 담을 수 있는 순수한 소재라고 생각했다. 건물의 하부에는 같은 시멘트 소재이지만 거친 자갈을 섞어 뜯어내듯 거친 표면으로 마감한 '각기오도시'라는 미장 마감을 사용해, 노출콘크리트와 같은 소재이나 빛의 형태감을 다르게 담아내고자 했다. 노출 콘크리트의 부드러운 면과는 대비되지만 동일 소재로서 연결되고, 모든 면이 빛을 담지만 재질감의 차이로 빛과 그림자가 담기는 방식이 달라 자연의 빛이 만들어내는 표현을 더욱 극대화하고자 했다. 더불어 사무실과 주택으로 들어가는 각 입구에 구로철판을 사용했는데 짙은 먹색과 특유의 금속 결이 콘크리트와 조화되고, 비가 닿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스럽게 색이 변하는 성질을 통해 '자연을 담는 공간'을 표현하고자 했다.
건물의 형태는 단아함에 대한 우리의 생각을 디테일과 선정리로 표현하고자 했다. 노출콘크리트를 시공할 때 거푸집은 합판을 사용하는데, 콘크리트를 보다 부드러운 텍스쳐로 표현하기 위해 코팅 테고합판을 사용하였다. 합판이 이어지는 부분으로 인해 콘크리트에 메지 라인이 만들어지게 되는데, 외피의 면을 따라 선이 맞고, 외부와 면하는 창문의 높이, 테라스 난간의 높이까지 모두 같은 메지 라인으로 맞춰지도록 했다. 창문 상부에는 보다 깊은 메지라인을 인위적으로 넣어 이러한 선 정리의 간결함을 더욱 부각시키고자 했다. 외부의 창은 내부 공간의 싱크대, 세면대의 하부장 등 가구의 높이와 맞춰져 있어 군더더기로 보일 면을 최소화했다. 건물의 첫인상인 앞면은 단단한 덩어리인 듯 단정하게 정리하고, 건물의 뒷면은 산세가 담긴 토지의 지형을 담았다. 건물 정면의 창은 자연을 담을 수 있는 최소한의 창만을 열어두었다. 백련산이 보이는 부분을 코너창으로 열고, 건물 전면 7m 높이의 단풍나무로 창 밖의 뷰를 조성했다. 3층 가장 끝부분 작은 창은 남향의 빛이 잠깐 드는 오전 시간의 빛을 들이기 위한 작은 창이다.
Impression of the Building
We chose materials with subdued color and texture to preserve a natural tone. Exposed concrete, though sometimes cold in appearance, is a material that ages naturally and captures light in its purest form. At the base, we used the same cement material but added rough gravel and applied a traditional Japanese plastering method called ‘Kakugi-Otoshi’, creating a contrasting yet complementary texture to the exposed concrete. While the exposed concrete presents smooth surfaces, this textured plaster creates distinct shadows, enhancing the interplay of natural light. We used black steel plates at the entrances of both office and residence. Their deep ink-like tone and natural metal grain harmonize with the concrete, and their weathering over time expresses the concept of a "space that embraces nature."
The building’s form reflects our idea of quiet elegance through detail and precise alignment. For the concrete formwork, we used coated plywood to achieve a softer texture. The form lines—created by the joints of the plywood—were meticulously aligned with the building envelope, window heights, and terrace railings. An intentional groove line above the windows emphasizes this clarity in design. Window heights also align with interior furniture such as sinks and cabinetry to maintain a clean visual flow. The building’s front was kept minimal and solid, while the rear reflects the natural topography. A corner window captures a view of Baekryeonsan, and a 7-meter maple tree in front of the building frames the scene. A small third-floor window welcomes the gentle southern morning light.

오감의 전이공간
건물의 출입구는 담장과 바닥 사고석을 따라 깊숙히 안쪽으로 들어와 마주할 수 있도록 배치했다. 담장을 따라 긴 통로 끝에는 안쪽 마당이 들여다 보이는 담장, 그리고 담장을 배경으로 하는 바이텍스 나무가 자리하고 있다. 대문의 간살은 빗각으로 내부 사무실 공간이 들여다 보이지는 않지만 내부 전이공간의 물소리를 어렴풋이 들을 수 있다. 대문을 열면 정원으로 들어서기 전 전이공간이 나타나는데, 지붕이 덮히는 공간을 물에 떠있는 디딤돌을 지나 들어올 수 있는 전이공간으로 두었다. 서향의 빛이 정원으로 들고, 마당에 있는 9미터 높이의 회화나무 그림자가 건물 전체를 뒤덮는 시간이면 전이공간에는 나무 그림자가 들고 그 빛으로 인해 생긴 물의 일렁임이 전이공간 전체에 맺힌다. 물이 흐르는 소리, 물이 빛을 받아 반짝이는 일렁임, 백련산에서 내려오는 숲의 향, 서향빛의 따스함 등 자연을 오감으로 느끼며 자연을 더욱 풍성하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한 공간이다. 전이공간을 지나면 비로소 서쪽으로 넓게 열리는 정원공간을 마주하게 된다. 정원의 끝, 사무실 창과 연결되는 처마 끝에는 2층 테라스에서 연결되는 우수관을 처마와 연결하여 비가 오는 날의 빗물의 흐름과 소리 또한 정원의 한 풍경이 될 수 있도록 했다.
Sensory Transition Space
The entrance is set deep inside, reached by following a low stone wall and flagstone path. At the end of this path is a courtyard wall, behind which stands a Vitex tree. The slatted main gate is angled so that the interior is not directly visible, yet the sound of water from the transition space can be faintly heard.
Upon opening the gate, visitors encounter a transitional zone before the garden—a covered space accessed by stepping stones appearing to float on water. Western light fills the garden, and when shadows from the 9-meter tree fall across the entire building, the ripples of light reflect onto the surfaces within this transition space. The shimmering water, the sounds of flowing water, the scent of the forest drifting from Baekryeonsan, and the warmth of the setting sun together create a space for experiencing nature through all five senses. Beyond this zone, one enters the fully opened west-facing garden. At the edge of the garden, a rainwater gutter extends from the second-floor terrace to the eaves near the office window, allowing rain sounds and movement to become part of the landscape.

가로로 긴 흐름, 1층 작업실
1층 공간은 전이공간과 정원을 바라보는 남쪽면 전체를 길게 창으로 열고 서향의 빛을 받는 끝 쪽은 ㄱ자 코너창으로 열어두었다. 남쪽의 정원과 함께 서향의 빛까지 극적으로 받아들이기 위함이다. 가로로 긴 공간의 형태감에 남향의 ㄱ자 창이 길게 열려 가로로 긴 공간의 흐름이 만들어지고, 공간 내부를 구성하는 직원실 책상이 소장실까지 연결되는 흐름, 그 흐름을 따라 북향에 길게 형성된 가로로 긴 창을 통해 가로로 긴 흐름을 만들어 공간의 통일감 있는 흐름을 만들고자 했다. 북쪽에 배치된 정원은 직원실 책상에 앉아서 바라볼 수 있는 정원으로, 화단의 높이를 책상 높이까지 지대를 땅와 좀 더 가까운 소통을 할 수 있는 창으로 계획했다.
Horizontal Flow - First Floor workspace
The first-floor studio faces south toward the garden, with a long horizontal window stretching across the facade. On the western end, an L-shaped corner window maximizes sunlight. This horizontal layout is emphasized through the space’s proportions and the alignment of desks from the staff area to the director’s office. A long horizontal north-facing window further reinforces the sense of continuous flow. The north garden, set at desk height, creates a sense of closeness with the ground, allowing staff to connect with the planted landscape.

주거공간
2층과 3층은 직접 거주하는 공간으로 계획되었다. 외부 소재와 마찬가지로 소재가 가지고 있는 색이나 힘이 강하지 않은, 자연의 색을 공간에 담을 수 있는 채도가 높지 않은 소재를 주로 사용했다. 흑색의 MDF와 석재 느낌의 타일, 스텐 그리고 백색의 도장으로 무채색의 공간을 구성했다. 대신 빛과 자연으로 닿을 수 있는 부분을 적극적으로 열어 정원의 나무와 서향의 빛을 공간 안으로 끌어들였다. 2층으로 들어서면 현관이 긴 복도로 전이공간의 개념으로 형성되고, 상하부장으로 나뉘어지는 수납장으로 거실공간과 분리된다. 시선보다 낮은 높이의 공간을 열어 거실 공간과 기능적으로 분리하되 공간감은 열리도록 했다. 현관을 지나 돌면 서향으로 크게 열린 창과 함께 주방과 거실 공간을 마주한다. 서향으로 열려있는 창 앞으로 주방 공간을 거실과 테라스로 열리듯 구성했다. 상부장과 후드를 없애 군더더기를 줄이고, 창 밖 풍경과 마주할 수 있도록 했다. 주방을 지나 3층으로 올라가는 계단을 향하면, 백련산의 뷰를 담는 코너창과 창 아래 작은 선반 공간을 마주한다. 백련산과 지나가는 사람들을 지켜보는 고양이를 위한 공간이다. 건물 전면에 있는 단풍나무가 보이는 창이기도 하다.
Living space
The second and third floors serve as private residential areas. As with the exterior, interior finishes were kept low in chroma, using natural, muted tones—black MDF, stone-textured tiles, stainless steel, and white paint—to create a calm, achromatic palette. Spaces were opened where light and nature could be brought in. The entryway on the second floor acts as a transition space via a long corridor, visually separated from the living room by low storage units that maintain openness. Turning the corner, the western-facing window reveals the kitchen and living area, with the kitchen designed to flow into the terrace. Upper cabinets and the hood were omitted to reduce visual clutter and maximize the view. At the foot of the stairs to the third floor, a corner window frames a view of Baekryeonsan, with a built-in shelf below—a resting spot for the house cat to observe the outside world. This window also offers a view of the maple tree at the front.

3층은 침실과 드레스룸, 욕실로 구성되는 공간이다. 침실은 서향의 빛과 풍경을 가장 잘 담을 수 있는 공간으로, 넓은 창과 함께 테라스를 두어 여유로운 흐름을 느낄 수 있도록 했다. 드레스룸을 구성하는 벽체는 천장과 30cm 정도의 여유 폭을 두어 벽으로 막히는 것이 아니라 뒷공간이 연장되어 보여 공간의 확장성이 느껴질 수 있도록 했다. 30cm의 여유폭을 둔 벽체의 끝 라인은 욕실로 들어가는 출입구의 천장과 높이가 맞고, 침실의 야외 테라스로 가는 창, 세탁실의 문과 높이를 모두 맞추었다.
욕실은 동향과 서향의 창을 가로로 길게 이어주는 세면대의 가로로 긴 흐름을 기준으로 욕조공간-샤워실-출입구-화장실로 이어진다. 좁은 공간이지만 세면대 양쪽으로 트여있는 창으로 개방감을 주면서도, 백련산이 보이는 큰 창이 있는 욕조는 비일상의 경험을 선사한다. 물이 솟아오르는 듯한 토수구와 그 뒤로 보이는 백련산의 풍경을 바라보며 하는 입욕의 공간은 샤워시간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거주자에게 영감과 환기를 줄 수 있는 공간이길 바랬다. 밖으로 열리듯 설계된 욕조공간과 반대로 매일 사용하는 샤워실은 한 사람 들어갈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원형으로 구성하여 몸을 감싸는 듯한 아늑함을 느낄 수 있도록 했다.
The third floor consists of a bedroom, dressing room, and bathroom. The bedroom captures the western view through a large window and connects to a terrace. The walls of the dressing room stop 30cm below the ceiling to maintain a sense of spatial continuity. This 30cm gap aligns with the ceiling of the bathroom entrance and matches the height of the terrace doors and laundry room.
The bathroom is arranged around a long sink that connects the east and west windows. Despite its compact size, the wide windows on both sides create openness. The bathtub, placed in front of a large window with a view of Baekryeonsan, offers an extraordinary experience. Water emerges from a spout designed to resemble a spring, blending with the view to create a meditative bathing space. The daily-use shower is compact and circular, designed to create a cocooning sense of comfort.
